최근 몇 년 사이 소행성이 우주탐사의 새로운 분야로 자리 잡으면서 지난해에는 소행성에 우주선 충돌실험까지 성공했는데요. <br /> <br />올해는 유용한 광물이 가득해 '보물섬'이라 불리는 소행성을 조사하기 위해 탐사선이 발사되고, 또 다른 먼 소행성에서 채취한 표본이 지구로 배달됩니다. <br /> <br />양훼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화성과 목성 사이에 형성돼 있는 소행성 벨트. <br /> <br />이곳에는 지름이 226km에 달하는 커다란 소행성, 프시케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로 암석과 얼음으로 이뤄진 일반 소행성과 달리 프시케는 철과 니켈, 금 등 유용한 광물로 가득 차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보물섬' 소행성이라 불리는 프시케 소행성을 탐사하기 위해 미 항공우주국 NASA는 오는 10월 우주선을 발사합니다. <br /> <br />스페이스X 팰컨 헤비 로켓에 실려 우주로 날아갈 프시케 탐사선은 2029년 소행성 궤도에 진입해 21개월 동안 주변을 돌며 행성 탄생의 비밀을 풀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린디 엘킨스 텐튼 / 애리조나주립대 수석연구원 : 프시케 소행성은 인류가 행성의 핵을 연구할 유일한 기회를 줄 겁니다. 그리고 인류가 방문한 최초의 금속 소행성이기도 합니다.] <br /> <br />이에 앞선 9월엔 또 다른 소행성 표본이 지구로 이송됩니다. <br /> <br />NASA의 소행성 탐사선 '오시리스-렉스'가 지난 2020년 10월, 소행성 베누에서 채취한 표본으로, 23억km를 날아 지구로 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오시리스-렉스가 표본이 담긴 캡슐만 분리해 지구로 떨어뜨리면, 낙하산을 펼쳐 미국 유타주 사막에 도착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캡슐 귀환 임무 이후에도 탐사선에 충분한 연료가 남아있을 것으로 보고, 2029년 지구에 근접하는 소행성 아포피스 연구에 오시리스-렉스를 재투입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제이슨 드워킨 / NASA 고디드우주비행센터 과학자 : 우리가 가져온 소행성 표본 중 75개는 미래 세대를 위해 보관될 것입니다. 이것은 오시리스-렉스가 과학 연구를 위해 가져온 수십 년의 유산입니다.] <br /> <br />올해 두 번의 소행성 탐사 이후에는 2028년, 차세대 적외선 우주망원경 '네오 서베이어'를 발사해 햇빛에 가려진 소행성까지 찾아낼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듬해인 2029년엔 지구 정지궤도 위성보다 가깝게 지나가는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에 전 세계 과학자들이 경쟁적으로 참여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10809243493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